반응형
업무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션의 단축키 가이드입니다.
업무를 위해서 문서작업을 하다보면 자주쓰는 기능인데도 매번 메뉴를 타고 들어가야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노션의 경우 단순한 인터페이스와 모듈형 기능구조를 가지고 있기때문에 단축키를 활용한다면 세상편한 문서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자주쓰는 단축키와 스타일 세팅을 위한 단축키를 정리하고자 한다.
히스토리
1. 첫 글 발행 (@2024.07.26)
1. 자주쓰는 단축키
1.1 새로 열기 / 만들기
분류 | 내용 | 단축키 |
새 창 열기 |
노션을 추가로 실행 | Cmd/Ctrl + Shift + N |
원하는 페이지를 새 창으로 실행 | Option + Shift + 클릭 | |
새 탭으로 열기 | 같은 창에 새탭으로 열기 | Cmd/Ctrl + 클릭 |
새로 만들기 |
새 페이지 만들기 | Cmd/Ctrl + N |
새 탭 만들기 | Cmd/Ctrl + t |
1.2 전환하기
분류 | 내용 | 단축키 |
페이지 이동 |
검색, 최근 페이지 이동 |
Cmd/Ctrl + P 또는 Cmd/Ctrl + K |
이전 페이지 |
Cmd/Ctrl + [ |
|
다음 페이지 | Cmd/Ctrl + ] | |
데이터베이스 이동 |
이전 데이터베이스 페이지로 이동 |
데이터베이스 미리보기 상태에서 Ctrl + Shift + K(Mac) 또는 Ctrl + K(Windows) |
이전 데이터베이스 페이지로 이동 |
데이터베이스 미리보기 상태에서 Ctrl + Shift + J(Mac) 또는 Ctrl + J(Windows) |
|
모드전환 | 모드전환(라이트/다크) | Cmd/Ctrl + ] |
1.3 이모지
분류 | 내용 | 단축키 |
바로쓰기 |
이모지 바로 붙이기 | : + 이모지 이름 ( ex > ":사과"를 입력하면 🍎, ":박수"를 입력하면 👏 ) |
이모지 전체보기 |
Mac | Ctrl + Cmd + Space |
Windows | Windows 키 + . 또는 Windows 키 + ; |
2. Markdown 편집 단축키
2.1 스타일 편집
분류 | 내용 | 단축키 |
텍스트 중간에 사용 |
볼드(텍스트 굵게) | 텍스트 양쪽에 ** 기호 입력 ( ex: **작성내용** > 작성내용 ) |
기울임 | 텍스트 양쪽에 * 기호 입력 ( ex: *작성내용* > 작성내용 ) |
|
기울인 볼드 | 텍스트 양쪽에 *** 기호 입력 ( ex: ***작성내용*** > 작성내용 ) |
|
인라인 코드 | 텍스트 양쪽에 ` 기호를 입력 (숫자키 1 왼쪽에 있는 기호, 텐키리스는.. 모르겠음 ㅠㅠ) |
|
취소선 | 텍스트 양쪽에 ~ 기호를 입력 | |
새로운 시작 부분에 사용 |
글머리 기호 목록 | *, -, + 다음에 Space를 입력 |
할 일 목록 체크박스 | []를 입력하고 space | |
번호 매기기 목록 | 1., a., i. 다음 Space | |
제목1(대제목) | # 다음 Space를 입력 | |
제목2(중제목) | ## 다음 Space를 입력 | |
제목3(소제목) | ### 다음 Space를 입력 | |
토글 목록 | > 다음 Space를 입력 | |
인용 블록 | " 다음 Space를 입력 |
3. 콘텐츠 관련 단축키
3.1 기본 명령어
분류 | 내용 | 단축키 |
기본명령어 | 텍스트 블록 안에서 줄을 바꿈 | Shift + Enter |
댓글을 달기 | Cmd/Ctrl + Shift + M | |
구분선 | ---(대시 3개) 입력 | |
볼드(글씨굵게) | 텍스트를 선택하고 Cmd/Ctrl + B | |
기울임 | 텍스트를 선택하고 Cmd/Ctrl + I | |
밑줄 | 텍스트를 선택하고 Cmd/Ctrl + U | |
취소선 | 텍스트를 선택하고 Cmd/Ctrl + Shift + S | |
링크추가 | 텍스트를 선택하고 Cmd/Ctrl + K (선택한 텍스트에 Cmd/Ctrl + V로도 추가 가능) |
|
인라인 코드 | 텍스트를 선택하고 Cmd/Ctrl + E | |
등려쓰기 | Tab | |
내어쓰기 | Shift + Tab | |
블록 변경 | 블록의 시작이나 끝에서 /전환 | |
글자색이나 배경색을 변경 | 텍스트 블록의 시작이나 끝에서 /색상 (초기화는 /기본색) |
|
Mac (Cmd + Option) Windows (Ctrl + Shift) |
텍스트 생성 | Cmd/Ctrl + Option/Shift + 0 |
제목1 생성 | Cmd/Ctrl + Option/Shift + 1 | |
제목2 생성 | Cmd/Ctrl + Option/Shift + 2 | |
제목3 생성 | Cmd/Ctrl + Option/Shift + 3 | |
할 일 목록 체크박스 생성 | Cmd/Ctrl + Option/Shift + 4 | |
글머리 기호 목록 생성 | Cmd/Ctrl + Option/Shift + 5 | |
숫자 매기기 목록 생성 | Cmd/Ctrl + Option/Shift + 6 | |
토글 목록 생성 | Cmd/Ctrl + Option/Shift + 7 | |
코드 블록 생성 | Cmd/Ctrl + Option/Shift + 8 | |
새 페이지 생성 또는 해당 텍스트 블록을 페이지로 전환 | Cmd/Ctrl + Option/Shift + 9 | |
확대해서 보기 | Cmd/Ctrl + + | |
축소해서 보기 | Cmd/Ctrl + - | |
상위 페이지로 이동하기 | Cmd/Ctrl + Shift + U | |
페이지 콘텐츠 복제 | Option/Alt 키를 누른 채로 콘텐츠 드래그 & 드롭 |
3.2 블록 편집 및 특수키 사용
분류 | 내용 | 단축키 |
블록 선택 / 편집 | 위/아래 블록 함께 선택 | Shift + 위/아래 방향키 |
블록 전체를 선택/해제 | Mac (Cmd + Shift + 클릭), Windows (Alt + Shift + 클릭) | |
블록 개별 선택 | Shift + 클릭 | |
선택 블록 복제 | Cmd/Ctrl + D | |
데이터베이스 여러행 한 번에 편집 | 데이터베이스에서 여러 행이나 카드를 선택하고 Cmd/Ctrl + /를 입력 | |
선택한 블록 이동 | Cmd/Ctrl + Shift + 방향키 | |
모든 토글 목록을 펼치거나 닫음 | Cmd/Ctrl + Option/Alt + T | |
마지막으로 사용한 글자색이나 배경색을 적용 | Cmd/Ctrl + Shift + H | |
@ 사용하기 | 사용자 멘션 | @와 워크스페이스 멤버의 이름을 입력 |
페이지 멘션(해당 페이지 인라인 링크를 생성) | @와 워크스페이스 내 페이지 제목을 입력 | |
날짜 멘션 | @와 날짜를 입력 ('어제', '오늘', '내일', '다음 주 수요일' 등 문구도 가능) |
|
리마인더 설정 | @리마인더 + 날짜 입력 ('어제', '오늘', '내일' 등 문구도 가능) | |
[[ 사용하기 ( '[[' 대신 '+'로 대체 가능 ) |
페이지 링크(바로가기) 생성 | [[ + 워크스페이스 내 페이지 제목 입력 |
하위 페이지 생성 | [[ + 추가하려는 하위 페이지의 제목 입력 (드롭다운 메뉴 > 새 "새로운" 하위 페이지 선택) | |
다른 곳에 새 페이지 생성 | [[ + 추가하려는 하위 페이지의 제목 입력 (드롭다운 메뉴 > 새 "새로운" 페이지 추가 선택) |
마치며
평소에 문서작업 많이 하던 사람이면 손에 익는게 꽤 있다. 그런데 노션을 문서작업 용도로 '만' 사용하기에는 꽤 아깝다.
노션이 말하는 페이지는 문서의 페이지가 아니라 '덩어리'(?) 라고 생각하는게 더 좋을 듯.
그래야 데이터베이스 개념도 더 쉽게 다가오고 더 직관적으로 정보를 작성하고 연결시키는, 정말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최고의 도구가 될 수 있으니까!
그런데 사실 잘하는 사람은 종이랑 포스트잇만 있어도 충분하더라 ㅋㅋ 결국 도구가 아닌 원리와 개념이 젤 중요하다.
그래서 다음 콘텐츠는 내가 애정하는 PARA 매서드
반응형
댓글